고양이갑상선기능항진증, 고양이갑기항, 개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개호르몬질환, 고양이호르몬질환, 개만성설사, 고양이설사만성소화기질환과 내분비질환 / 개애디슨,

가끔 만성 소화기 증상을 주증으로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가 있습니다 검사, 투약, 식이 반응에서 췌장염, IBD, 식이알레르기, 만성원충감염 등이 배제된 후라면 다음으로 고민해 보아야 할 질환이 있습니다. 개는 부신피질기능저하증/애디슨병을, 고양이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을 확인해야 합니다.

감염성 설사가 배제되면 만성 췌장염, IBD, 음식 알레르기가 의심될 수 있습니다. 그것도 아니면 내분비 질환을 받을 차례에요.개의 부신피질기능저하증/애디슨병은 급격한 기력저하와 신부전,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 등이 특징이나 비전형적인 형태로 소화기 증상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 많은 말티즈를 비롯한 흰색 소형견에서 비교적 작은 연령에서도 발생하고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몇 주 이상 지속된 소화기 증상을 놓고 이것저것 시험해 보면 스테로이드에 잘 반응하는 아이도 있는데 IBD/알레르기라고 볼 수도 있지만, 부신피질기능의 저하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ACTH검사로 확정진단됩니다.

(왼쪽) ACTH 검사에 대한 반응 / (중)소화기 증상이 애디슨병의 유일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 (오른쪽)스테로이드로 치료합니다.The prevalence of HA among dogs with chronic SGD is high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 Based on these results , testing adrenal function should be performed as a standard screening test in dogs with chronic SGD to differentiate between HA and chronic enteropathies.pubmed.ncbi.nlm.nih.gov 猫 甲状 腺 機能 亢進 症 も 消化 器 の 症状 だけが 見られます 。 마르고 털이 푸석거리고 식욕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체중 감소는 전혀 없고 다뇨와 구토, 설사만 보이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고양이도 있습니다. 소화기 증상 뿐이라면 호르몬 질환보다는 위장 관계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고양이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상상 이상으로 흔해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검사해야 하는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살을 빼는 것이 주 증례이나, 아닐 수 있습니다. /(중) 푸석푸석한 털/(소)투약반응을 보셔야 진단이 됩니다.몸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원리는 매우 복잡합니다. 신장에서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알도스테론…blog.naver.com 10세 이상의 고양이 건강검진에 포함되어야 할 검사로는 혈압 측정, 단백뇨 검사, 그리고 갑상선 호르몬 측정이… blog.naver.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로11길 35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