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UboFvjoG 6lU
주파수는 어떻게 주고받을까요?그 원리를 살펴보고 그 내용을 나의 관심사인 마음의 작동원리와 조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모든 것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진동하는 에너지라고 합니다.물건이든, 우리 몸의 세포든, 빛이든, 무엇이든 쪼개서 더 이상 깨뜨릴 수 없을 때까지 쪼개면 마치 태양과 지구 사이에 엄청난 공간이 있는 것처럼 빈 공간에 진동하는 에너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오감으로 외부세계를 관찰합니다.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를 맡고, 피부로 느끼는 것을 오감이라고 하죠.여기에서 진동하는 에너지를 귀가 청각으로 바꾸기 때문에 들을 수 있습니다.진동하는 에너지를 눈이 시각으로 바꾸기 때문에 볼 수 있습니다.진동하는 에너지를 코가 후각으로 바꾸기 때문에 냄새를 맡을 수도 있어요.손가락 끝이 진동하는 에너지를 촉각으로 바꾸기 때문에 느낄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혀도 진동하는 에너지를 미각으로 바꾸기 때문에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세상이 모두 진동하는 에너지이고 우리의 오감은 그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모든 진동하는 에너지는 주파수를 발산하고 우리의 오감은 그 주파수를 수신하는 것입니다.
주파수를 보내고 받는 원리는 이렇죠.다양한 주파수가 공간을 통과하는데 안테나를 통해 1차적으로 좋든 싫든 다양한 주파수가 수신됩니다.여기서 2차는, 자신이 원하는 주파수이기 때문에 진동수를 똑같이 맞추면, 그 주파수, 진동수와 공명하면서 선명하게 보거나 들을 수 있습니다.라디오 주파수를 맞추는 거죠핵심은 진동수가 같으면 선명해진다는 거예요.
밴드 연주에서 피아노, 기타, 베이스, 드럼이 동시에 합주하는데 제 귀는 안테나라서 네 악기의 음을 모두 수신해요.하지만 기타 소리만 들어야겠다고 결심하면 기타 소리만 들려요.이게 진동수, 주파수를 맞추는 거죠.귀에 따라서 1차적으로 다양한 소리를 수신하고, 2차적으로 마음을 통해서 주파수를 맞추는거죠.
우리의 몸은 안테나이고 우리의 마음은 주파수를 맞추는 주파수 조정 장치인 것입니다.
하나에 몰두해서 생각해 보면, 특정 단어나 관련된 내용이 전보다 더 눈에 띄고 귀에 잘 들리는 현상, 그것을 세망신경계의 작동이라고 부릅니다.이것도 주파수를 맞추는 작업이에요.의식적으로 특정한 주파수를 맞추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의지가 박약하다는 저와 비슷한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주파수가 합쳐져도 되는 것을 줍기만 할 뿐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주파수가 합쳐지면 정보화된 에너지가 전달된다.물질화된만질수있는물건이전달되는것이아닙니다.예를들면장미꽃이갖고싶다라는주파수에맞추면이미존재하고있던장미와관련된정보가더선명하게보이고그것을확인할수있는지도가표시되기시작하는거죠.그 정보에 따라 장미를 만날지 어떨지는 지금 이 순간을 창조하는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하는 저의 결정입니다.결정을 했으면 집중력을 유지하면 됩니다.
그런데 결정을 하고 나니 집중력이 흔들립니다.그러면 전달되는 정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 이유는 표면상 우리의 의식 집중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단 5분만 아무 생각하지 말고 한 단어만 생각해 보세요. 실제로 해보면 저는 써니즈라는 단어로 해볼게요써니즈, 써니즈, 써니즈, 써니즈 뭐, 화장실 가고 싶은데 써니즈, 써니즈, 밥 뭐 먹을래? ‘써니즈’, ‘써니즈’는 30초가 지났구나.이런생각들이우리의의식집중력을방해해서나타납니다.저는 써니즈 단어만 생각하고 싶어도 자동적으로 다른 생각들이 올라와요.
이 생각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우리의 잠재의식도 주파수를 발산하는데 잠재의식에 맞추고 있는 주파수가 우리가 집중하는 의식 속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의식 집중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잠재 의식에 필요한 것을 보존해 두면 자동으로 필요한 주파수를 발산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요?
문제는 나의 잠재의식이 현재 어떤 주파수에 맞춰져 있는지, 이 주파수를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잠재의식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다음 번에는 잠재의식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파수 #마음의 관계 #내 주파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