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글로벌 웹브라우저 구글은 17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글로벌 웹브라우저의 장점은 각국의 정보를 직접 검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구글 한국 사이트에서 검색할 때 국내에서 제작된 콘텐츠가 최우선으로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직접 해당 국가의 구글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글은 구글 재팬 접속 방법과 구글의 기타 해외 서버 접속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미국, 호주,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는 구글 접속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번 글을 참고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해외 각국 구글 서버에 접속하면 검색 설정으로 접속하려는 해당 국가로 설정해야 한다. 구글 홈에서 화면 우측 하단을 보면 설정 버튼이 있다. 메뉴 리스트에서 검색 설정을 선택하면 국가 설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역 설정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접속 가능한 179개 국가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은 현재 접속 지역이지만, 직접 접속하려는 국가를 선택해 저장하면 구글 재팬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등 해외 구글 서버에서 해당 국가 언어로 검색할 수 있다.

구글 재팬을 예로 들어 설명해보면 상단 주소창에 일본 구글 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해주면 바로 접속할 수 있다. 구글 재팬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주소는 Google.co.jp 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된다.
이처럼 구글 재팬 홈에 접속됐다면 앞서 설명한 국가 설정을 해주면 일본어 직접 검색도 가능하고, 검색 결과도 일본어가 최우선으로 보인다. 접속을 희망하는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국가 설정 없이 구글 재팬을 이용할 수 있다.-구글 재팬 바로 갈게 –

구글의 해외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조금만 응용하면 170개국 이상의 구글 사이트에 도움 없이 접속할 수 있다. 국가별로 사용하는 도메인이 다르고 구글재팬처럼 접속이 가능한 국가도 있지만 국가별로 조금씩 접속 방법이 다르다.
구글 국가코드, Google.com 국가코드, Google.co 국가코드, Google.com/ 국가코드가 많이 쓰이는 해외 구글 사이트 접속 주소 형식이다. 예를 들어 독일 구글 서버에 접속하려면 Google.de 를 입력하면 된다. 호주의 경우는 Google.com.au 이다.

덧붙여서, 미국 구글의 주소는 Google.com/en 에 접속하면 된다.
해외 서버에 정상적으로 접속하면 로그인돼 있던 구글 계정이 로그아웃돼 있어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해도 좋을 듯하다.또 구글재팬 등 자주 접속하는 페이지는 즐겨찾기로 등록해 놓고 사용하면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구글의 해외 서버 접속 방법을 참고해 해당 국가의 현지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이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구글재팬 바로가기 등에서 즐겨찾기로 해놓고 틈틈이 관련 정보를 검색하면 현지인들이 올린 진짜 정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금은 검색 결과를 실시간으로 번역할 수도 있어 해당 국가의 언어를 몰라도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구글의 해외 서버 접속 방법을 참고해 해당 국가의 현지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이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구글재팬 바로가기 등에서 즐겨찾기로 해놓고 틈틈이 관련 정보를 검색하면 현지인들이 올린 진짜 정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금은 검색 결과를 실시간으로 번역할 수도 있어 해당 국가의 언어를 몰라도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